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포켓몬스터 썬&문(애니메이션)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기타 == * 베이스가 되는 게임의 정식 명칭은 [[포켓몬스터썬·문]]으로 '포켓몬스터'와 '썬' 사이에 띄어쓰기가 안 되어 있고, 썬과 문을 잇는 기호로 ' · '를 사용했다. 반대로 애니메이션에서는 '포켓몬스터'와 '썬' 사이에 띄어쓰기가 되어 있고, 썬과 문을 잇는 기호로 ' & '가 사용되었다. 그래서 미묘하게 표기가 다르다. * 로고가 무인편의 로고와 유사하다. 무인편으로의 회귀를 지향한 것의 영향으로 보인다. * 겨우 하루 차이지만, 최초로 애니 방영일이 게임 발매일보다 더 빠르다.[* AG나 DP는 애니 개봉일과 게임 발매일이 동일했었고, 무인, 베스트위시나 XY는 게임 발매일이 더 빠르다. 다만, 타이틀이 바뀌지 않고 지방만 바뀐 성도편은 금/은 버전보다 몇 주나 빨랐다.] * 프랑스-이탈리아-독일-대만-대한민국-미국 순으로 방영을 시작한다. 프랑스는 2016년 11월 18일,[* 게임 발매일. 단, 유럽은 23일 발매라, 여전히 빠른 건 매한가지.] 이탈리아는 19일, 독일은 20일. 대만은 [[2017년]] [[1월 18일]], 대한민국은 4월 4일. 미국은 무려 [[5월 12일]]. * 타이틀 테마곡은 포켓몬스터 무인편 초창기부터 선보인 배경음악 중 원작 게임인 포켓몬스터 1세대 버전에서 [[https://www.youtube.com/watch?v=6PUPgy-Plaw|「길안내(道案内)/Come Along」]][* [[회색시티]]에서 회색체육관의 [[웅(포켓몬스터)|웅]]을 이기지 않고 [[3번도로]]로 빠지려고 하면 길을 막고 체육관으로 안내하는 NPC가 있는데, 이 안내 도중에 흘러나오는 BGM이다. 애니메이션에서는 주로 평화로우면서도 활기찬 경우에 흘러나온다.]의 [[https://www.youtube.com/watch?v=UJdVAFza1E8|TV 애니메이션판 배경음악]]을 [[https://www.youtube.com/watch?v=BJP1Xu5QKRc|리믹스한 곡]]이다.[* 참고로 「길안내/Come along」은 [[https://www.youtube.com/watch?v=v79E-DiYxPs|2세대]], [[https://www.youtube.com/watch?v=e7uR6A5EE6s|3세대]], [[https://www.youtube.com/watch?v=NQvUjmugcEs|1세대 리메이크(파이어레드/리프그린)]], [[https://www.youtube.com/watch?v=lyYutjp1iWU|4세대]], [[https://www.youtube.com/watch?v=H7x4XMHzOvY|2세대 리메이크(하트골드/소울실버)]], [[https://www.youtube.com/watch?v=WZbs9iMfzL0|5세대]], [[https://www.youtube.com/watch?v=0bgwl57Bzjo|6세대]], [[https://www.youtube.com/watch?v=oDxif7UKabI|3세대 리메이크(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 [[https://www.youtube.com/watch?v=Y55HJBnFnLI&list=PLcEun0ol29M0LBzbM8G1FkI8IcViwIU0H&index=24|7세대]] 버전 등에 각각 리믹스 버전이 존재하고, TV 애니메이션판 배경음악도 [[포켓몬스터 XY(애니메이션)|포켓몬스터 XY]]/[[포켓몬스터 XY&Z|XY&Z]]판 [[https://www.youtube.com/watch?v=kEVNlN9rJVc&list=PL4c_F8azAdYhm_TM41DSZEpDuSfXOVMkp&index=21|리믹스 버전]]도 존재한다.] * 한편, 울트라비스트 등장 메인 에피소드인 51화~54화, 87화~90화, 100화~101화, 140화의 타이틀 테마곡은 [[https://youtu.be/rJNkbk-6xYk|이븐곰 등장 BGM을 웅장하게 리믹스한 버전]]을 사용했다. 또, 마지막 화인 146화는 타이틀 테마곡이 나오지 않았다. * 전 시리즈의 BGM을 잘 사용하지 않은 BW와 W, 무인편과 BW의 BGM을 살짝 어레인지하고 새로운 BGM들도 만든 AG와 XY와 달리 SM은 BW와 XY의 BGM이 많이 사용됐다. 하지만 썬&문에서 새로 만든 BGM도 그에 못지 않게 많이 사용했다. * 애니메이션에서 캡틴으로 활동하고 있지 않지만, 키아웨, 마마네, 마오, 수련은 모두 캡틴의 증표(애들이 가지고 있는 클로버)를 가지고 있다. 다만 캡틴이 아니기에 어디까지나 장식에 불과한 것으로 보인다. * 지우의 라이벌은 총 네 명이다. Z링을 가지고 있는 시점을 기준으로 보면 스쿨메이트 아이들과 구즈마, 글라디오, 로열마스크, 하우까지 무려 9명으로 늘어나지만, 공식적인 라이벌은 글라디오와 키아웨, 하우, 로열마스크 뿐이다. 또,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 중 유일하게 지우의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라이벌이 없는 시즌이 됐다. * 시리즈 사상 처음으로 주연끼리 라이벌 관계가 묘사됐다. 지우와 키아웨가 여기에 해당된다. 작중에서 둘이 배틀을 자주 했고, 지우의 알로라지방 마지막 공식전도 키아웨와 했다. 후속작인 W에서 키아웨가 고우에게 자신을 지우의 라이벌로 소개하면서 지우의 라이벌로 확정. 반대로 지우 역시 시리즈 사상 처음으로 동료의 라이벌 역할을 맡게 됐다. * 히로인의 라이벌은 무인편 이후 처음으로 나오지 않았다. 다만, 알로라리그 한정으로 마오와 수련이 서로 라이벌 포지션이었고, 글라디오와 구즈마를 각각 릴리에와 수련의 라이벌로 볼 수 있다. * 로켓단 삼인방이 2화까지 등장하지 않은 유이한 시즌이다.[* 다른 하나는 [[포켓몬스터W]].]또, 퇴장할 때 날아간 적이 거의 없고[* 16화처럼 가끔 날아가긴 한다.], 퇴장 대사도 싫은 느낌(한국판은 불쌍한 내 인생)이 아닌 뭐야 이 느낌(한국판은 느낌이 세하다)로 바뀌었다. 등장 대사도 이전 시즌들과 크게 다른 편. 지우를 부를 때도 찰리보이 뿐만 아니라 스쿨보이라고 부른 적도 있다. * [[포켓몬스터 XY(애니메이션)|전작]]이 [[포켓몬스터 AG]]의 멤버 구성을 일부 계승했다면[* 4인 체제, 히로인의 스타팅이 불꽃 타입인 점, 스타팅이 1번 이상 진화를 한 점, 히로인이 둘 다 이브이를 가짐 등. 다만 이번 작에서도 히로인이 이브이를 가진다.], 썬문은 DP의 멤버 구성을 일부 계승했다. 그 예로 [[수련(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히로인]]의 스타팅이 물 타입이라든가[* 다만 빛나의 [[팽도리]]와는 달리 수련의 [[누리공]]은 최종진화까지 하였다.], 지우가 잡은 첫 스타팅 포켓몬은 풀 타입이지만 그 후에 불꽃 타입 스타팅을 잡고 에이스급으로 쓰는 것 등이 있다. 또한 지우 일행 스타팅 중 2마리는 최종진화하지만, 나머지 1마리는 변함없는돌을 가져 진화하지 않는다[* DP - 빛나의 팽도리, 썬&문 - 지우의 나몰빼미]. * 다만 작품의 분위기는 진지했던 DP와는 정반대였다. 그래도 포켓몬의 이야기가 많아지기 시작한 DP의 특징을 계승한 점과 타이틀에 &이 들어간 점, 전작들의 BGM을 많이 쓴 점, 방영 2년차에 각각 시리즈 10주년과 20주년을 맞이한 점, 루가루암과 어흥염의 행보가 초염몽의 행보와 유사한 점[* 루가루암은 특정 상태가 되면 지우의 말을 무시하는 문제점을 극복하는 과정, 어흥염은 과거 이야기가 슬픈 점, 리그에서 그동안 못 이겼던 라이벌을 이긴 점, 리그에서 맹화가 발동한 점, 엄청난 투지를 보여준 점이 각각 초염몽과 유사하다.], 리그 풀배틀에 3화 이상 쓴 점, 타이틀을 안 바꾸고 종영한 점 등은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포켓몬스터 썬·문]]이 [[포켓몬스터DP 디아루가·펄기아]]의 리메이크에 대한 떡밥으로 채웠던 것의 일환으로 볼 수도 있다. * 무인편에 대한 오마주로 보이는 에피소드도 있다. 대표적으로 42~43화의 관동편.[* 여담으로 썬문에서는 메가진화가 이 에피소드에서 처음 나왔다.] 또, 썬&문 20화는 무인편 276화와 비슷하고, 오프닝과 엔딩이 중간에 각각 메자세 포켓몬 마스터, 타입:와일드 리메이크 버전으로 바뀌기도 했다. 그리고 썬&문이 이전 시리즈와 크게 이질적이지만 그나마 무인편의 관동지방 편이나 오렌지제도 편과 작품 분위기가 유사하다. * 우연의 일치이지만 버터플이 지우와 이별한 에피소드와 바랜드가 냐오불과 이별한 에피소드의 화수가 같다. * 썬&문 시즌을 다룬 극장판은 없다. [[너로 정했다!]]를 기점으로 극장판 포켓몬스터가 사실상 리부트-리메이크로 가닥을 잡았기 때문. 2018년에는 너로 정했다의 후속인 [[모두의 이야기]]가, 2019년에는 [[뮤츠의 역습]]의 풀3D 리메이크작인 [[뮤츠의 역습 EVOLUTION]]이 개봉하였다. 리부트 극장판과 썬&문과의 연관성은 없지만 썬&문 본편에 마샤도와 제라오라가 출연했고, 극장판에서 크로스가 루가루암 한밤의 모습과 어흥염을 주로 썼다. * 2017년 11월 9일 방영한 49화로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는 정확히 1000화를 맞이하였다.[* [[포켓몬스터(1997년 애니메이션)|무인편]] 275화+공식 결번의 [[닌텐도 증후군|1]], [[포켓몬스터 AG|AG]] 192화, [[포켓몬스터 DP|DP]] 191화+2, [[포켓몬스터 베스트위시|BW]] 142화+2, [[포켓몬스터 XY(애니메이션)|XY]]&[[포켓몬스터 XY&Z|Z]] 93/47화+2, [[포켓몬스터 썬&문(애니메이션)|썬&문]] 49화로 정확히 996화며, 여기에 추가로 [[포켓몬스터 XY -최강 메가진화-|최강 메가진화]] 4화를 포함하여 애니메이션 1000화를 채우게 된다.][* 근데 여기서 만약 [[포켓몬스터 XY -최강 메가진화-|최강 메가진화]]를 빼면 53화를 기점으로 1000화인데, 그 다음화인 54화에서 [[피카츄(한지우)|지우의 피카츄]]가 '''[[1000만볼트]]를 사용했다.''' 무인편 1화 당시 [[깨비참]] 무리들을 향해 날린 전격을 노린 듯한 묘사.] * 북미에선 64화가 인종차별 문제로 인해 결방되었다. 이는 [[루주라]]의 피부색 변경과 동일한 지우가 얼굴을 까맣게 칠한 장면이 문제되었다고 한다.[[https://gamerant.com/pokemon-sun-moon-anime-episode-ban/|#]] 북미에선 굉장히 오랜만에 나온 결방 에피소드다. 반면 일본과 한국에서는 DP 이후 처음으로 결방이나 방영 연기 에피소드가 없는 시즌이 됐다. * 한국판 한정으로 처음으로 [[EBS 성우극회]]의 성우가 단 1명도 참여하지 않은 시즌이다.[* 무인, 베스트위시 - [[장경희(성우)|장경희]], AG, DP - [[전태열]], XY - [[엄상현]], W - [[김수영(성우)|김수영]]][* 이 부분은 해당 애니 연출을 맡은 PD부터가 로봇과 몬스터(2013년)의 [[전태열]] 이후로 [[엄상현]] 딱 1명만 제외한 다른 EBS 성우를 지나치게 전혀 안 불러서 그렇다. 그러다가 후속작인 [[포켓몬스터W]]에서 EBS 성우인 [[김수영(성우)|김수영]]을 부른다.] * 일본판 또한 처음으로 [[토니토니 쵸파]]역의 [[오오타니 이쿠에]]를 제외한 [[원피스(만화)|원피스]] [[밀짚모자 해적단]] 성우가 단 1명도 참여하지 않은 시즌이기도 하다[* [[몽키 D. 루피|루피]]역 [[타나카 마유미]](무인), [[롤로노아 조로]]역 [[나카이 카즈야]](무인, DP, 리코와 로이의 모험), [[나미(원피스)|나미]]역 [[오카무라 아케미]](무인, AG, DP, XY, W 신으로 불리는 아르세우스, W 아득하게 푸른하늘), [[우솝]]역 [[야마구치 캇페이]](무인, BW), [[니코 로빈]]역 [[야마구치 유리코]](무인, AG, DP), [[프랑키]]역 [[야오 카즈키]](DP), [[브룩(원피스)|브룩]]역 [[쵸]](AG), [[징베]]역 [[호우키 카츠히사]](AG극장판 마나피, DP, W), 참고로 [[상디]]역 [[히라타 히로아키]]는 단 한번도 포켓몬 애니에 출연한적은 없다][* 다만 밀짚모자 일당 성우는 아니지만 원피스에 출연한적 있는 썬&문 일판 성우는 [[레베카]]역 [[하야시바라 메구미]](로사), [[페드로]]역 [[미키 신이치로]](로이), [[유스타스 키드]]역 [[나미카와 다이스케]](로토무도감), [[사보]]역 [[후루야 토오루]](오루오루), [[모르건즈]]역 [[카세 야스유키]], [[돈키호테 로시난테]]역 [[야마데라 코이치]](디아), [[킨에몬]]역 [[호리우치 켄유]](나레이션, 오박사, 송호오)의 7인(오오타니 이쿠에 제외)] * 일요일로 시간대를 옮긴 이후, 엔딩이 CM보다 먼저 나오고 있다. 반대로 C파트는 CM 이후 방영하고 있다. * 역대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에서 전 시리즈 모두 참여하며 포켓몬 시리즈에 절대로 빠지면 안되는 레귤러 성우 8명 중 1인이자 최연장자였던 [[이시즈카 운쇼]]가 2018년 8월 13일에 별세했다. 역대 포켓몬스터 레귤러 애니메이션 시리즈의 성우 후배들은 그의 죽음에 크게 슬퍼하는 모습을 보였다. * 제작진 중 [[테레비 도쿄|TV 도쿄]] 측 프로듀서가 89화부터 [[호소야 노부유키]]로 변경되었었는데, [[케모노 프렌즈 2/논란|케모노 프렌즈 2기 사태]]로 그의 실태와 편성 문제가 드러나자 포켓몬 팬덤이 크게 반발했고 결국 포켓몬 관련 모든 영상물에서 강판되었다. * 129화부터 시청자들이 [[포켓몬GO]]에서 찍은 스냅샷을 CM 전후 아이캐치로 내보내고 있다. * 타케가미 준키와 후지타 신죠가 하차했다. * AG 이후 처음으로 마지막 화의 쿠키 영상이 없다. 또, 시리즈 사상 처음으로 극후반부[* 무인편은 275화, AG부터 XY까지는 마지막 화에 태초마을로 귀환하는 장면이 나왔다.]에 지우와 피카츄가 태초마을로 귀환하는 장면도 없다. 대신 마지막 화 엔딩에 지우를 제외한 썬&문 등장 캐릭터들의 후일담을 넣었다.[* DP와 XY는 마지막 화 엔딩에 시즌의 주요 장면들을 넣었다.] * AG 이후 처음으로 종영 후 지우 동료들의 후일담 에피소드가 없다. 대신 후속작인 W에 역대 시즌 동료들 중 최초로 재등장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